단 한 사람
자신이 누구인지 믿어주고, 진심 어린 지지를 보내주는 단 한 사람만 있어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삶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0년 전 띵동은 '단 한 사람'이 되기 위해 첫 걸음을 뗐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세상에
홀로 남겨진 기분이
들지 않아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10년 동안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었습니다.
2025년, 띵동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0년 동안,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에서 함께하며 만들어온 변화. 이제, 우리가 만든 변화를 이야기하려 합니다.
띵동 후원하기!
성소수자로서 언제나
혼자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띵동을 알게 된 후
그런 외로움이 많이 사라졌어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10년 동안,
곁이 되었습니다.
10년의 시간 동안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에서 함께 걸어왔습니다.
17,012건의 카카오톡 소통으로 문턱을 낮추어 생활 상담, 지원 요청, 안부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전국의 청소년 성소수자 1,356명을 만났습니다.
3,489건의 상담을 통해 고민을 듣고 삶을 지지했습니다.
10년 동안,
곁을 만들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도록, 이 모든 여정 속에서 띵동이 함께 했습니다.
1,449건, 법률·의료·주거·심리 상담으로 위에서 벗어날 길을 찾았습니다.
617건, 나로 살아갈 수 없는 집을 떠나 자립 중인 청소년에게 생필품과 따뜻한 안부를 전했습니다.
813명, 띵동식당에서 안전한 공간을 만나 또래 친구와 마음을 나눴습니다.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청소년을 더 가깝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성별정체성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이해 부족, 법적·의료적 한계로 인해 띵동에 손을 내미는 트랜스젠더·논바이너리 청소년의 상담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상담 속에서 필요한 자원들을 발굴하고, 제공하여 더욱 단단한 곁을 만듭니다.
단 한 사람
자신이 누구인지 믿어주고, 진심 어린 지지를 보내주는 단 한 사람만 있어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삶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10년 전 띵동은 '단 한 사람'이 되기 위해 첫 걸음을 뗐습니다.
띵동과 함께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어주세요.
띵동 기부자가 된다는 것은 청소년 성소수자 곁에서 힘이 되어 줄 '한 사람'이 더해지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기부가 용기와 희망이 됩니다.
띵동 후원하기!
마침내
나를 걱정해 주는
사람이 생겼어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청소년 성소수자와
함께한 10년, 나를
숨겨야 했던 세상에서
마침내 숨 쉴 공간을
만났습니다.
띵동을 알기 전, 청소년 성소수자의 12%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요청할 사람이 전혀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주변에 기대거나 손을 내밀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것입니다.하지만 띵동을 만난 이후,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은 3.4%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더 이상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띵동 설립 이후,
긍정적인 사회인식을
변화시켜 온 10년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를 '보이지 않는 존재'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만드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보이지 않았던 존재에서 사회의 일원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변화의 흐름 속에 띵동이 청소년 성소수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더 이상
세상에
홀로 남겨진 기분이
들지 않아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10년 동안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었습니다.
2025년, 띵동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0년 동안,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에서 함께하며 만들어온 변화
이제, 우리가 만든 변화를 이야기하려 합니다.
띵동 후원하기!
성소수자로서 언제나
혼자라는 느낌이 들었는데, 띵동을 알게 된 후
그런 외로움이 많이 사라졌어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10년 동안, 곁이 되었습니다.
10년의 시간 동안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에서 함께 걸어왔습니다.
17,012건의 카카오톡 소통으로 문턱을 낮추어
생활 상담, 지원 요청, 안부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전국의 청소년 성소수자
1,356명을 만났습니다.
3,489건의 상담을 통해
고민을 듣고 삶을 지지했습니다.
10년 동안, 곁을 만들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고 느낄 수 있도록, 이 모든 여정 속에서 띵동이 함께 했습니다.
1,449건, 법률·의료·주거·심리 상담으로
위기에서 벗어날 길을 찾았습니다.
617건, 나로 살아갈 수 없는 집을 떠나 자립 중인
청소년에게 생필품과 따뜻한 안부를 전했습니다.
813명, 띵동식당에서 안전한 공간을 만나
또래 친구와 마음을 나눴습니다.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청소년을
더 가깝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성별정체성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이해 부족, 법적·의료적 한계로 인해
띵동에 손을 내미는 트랜스젠더·논바이너리 청소년의 상담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상담 속에서 필요한 자원들을 발굴하고, 제공하여 더욱 단단한 곁을 만듭니다.
띵동과 함께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어주세요.
띵동 기부자가 된다는 것은 청소년 성소수자 곁에서 힘이 되어 줄
'한 사람'이 더해지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따뜻한 기부가 용기와 희망이 됩니다.
마침내 나를 걱정해 주는
사람이 생겼어요.
띵동을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
청소년 성소수자와 함께한 10년,
나를 숨겨야 했던 세상에서 마침내 숨 쉴 공간을 만났습니다.
띵동을 알기 전, 청소년 성소수자의 12%는
"도움이 필요하지만 요청할 사람이 전혀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주변에 기대거나 손을 내밀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띵동을 만난 이후, 같은 질문에 대한 응답은 3.4%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더 이상 혼자가 아니었습니다.
띵동 설립 이후,
긍정적인 사회인식을 변화시켜 온 10년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를 '보이지 않는 존재'에서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 만드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보이지 않았던 존재에서
사회의 일원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존중받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변화의 흐름 속에
띵동이 청소년 성소수자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띵동은 연결과 변화를
멈추지 않겠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의 가장 가까운 곁, 띵동. "나 홀로"가 아닌, "우리"를 만듭니다. 지난 10년 동안,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지켜왔듯이 2025년에도 연결과 변화를 위해 멈추지 않겠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해
총 50,950,000원의
지원금이 필요합니다.
기부로 함께해주세요.
1만원 기부시
띵동과 만나는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식사 한끼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3만원 기부시
띵동식당에서 또래들과 나눠먹을 음료와 간식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5만원 기부시
트랜스젠더 청소년에게 생애 첫 치마, 바인더, 화장품 등 젠더표현 물품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10만원 기부시
탈가정 청소년에게 생필품(레인보우키트)을 선물하여 자립을 응원할 수 있습니다.
띵동 기부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는 일입니다. 한 사람의 삶을 바꾸는 따뜻한 기부, 더 많은 곁이 모일수록 세상은 더 환해집니다.
2025년에도 띵동은
연결과 변화를 멈추지 않겠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의 가장 가까운 곁, 띵동. "나 홀로"가 아닌, "우리"를 만듭니다.
지난 10년 동안,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지켜왔듯이 2025년에도
연결과 변화를 위해 멈추지 않겠습니다.
띵동 10주년
응원메시지
2015~2025
띵동 10년 타임라인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센터를 개소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아름다운재단, 성소수자 친화적인 교회공동체와 국내외 기부자들의 도움이 컸어요.
2015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개소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센터를 개소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아름다운재단, 성소수자 친화적인 교회공동체와 국내외 기부자들의 도움이 컸어요.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이 처음 시작됐어요. 같이 맛있는 밥을 먹고, 준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겁게 하는 프로그램이죠. 첫 회엔 청소년 1명이 왔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은 매회 20명의 청소년들이 놀러와서 센터가 웃음소리로 가득해요.
2015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 시작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이 처음 시작됐어요. 같이 맛있는 밥을 먹고, 준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겁게 하는 프로그램이죠. 첫 회엔 청소년 1명이 왔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은 매회 20명의 청소년들이 놀러와서 센터가 웃음소리로 가득해요.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가 문을 열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지원단체가 없었기 때문에 띵동을 청소년들에게 도움 받을 곳이 있다는 걸 알리는 것이 중요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주 모이는 곳들을 찾아가 띵동을 알리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더니 언젠가부턴 3~40명의 청소년들이 띵동포차에 와서 서로 안부를 나눴죠. ‘띵동포차는’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까지 진행했고, 현재 휴식기입니다. * 띵동포차는 ‘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의 공간을 후원받았습니다.
2016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 운영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가 문을 열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지원단체가 없었기 때문에 띵동을 청소년들에게 도움 받을 곳이 있다는 걸 알리는 것이 중요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주 모이는 곳들을 찾아가 띵동을 알리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더니 언젠가부턴 3~40명의 청소년들이 띵동포차에 와서 서로 안부를 나눴죠. ‘띵동포차는’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까지 진행했고, 현재 휴식기입니다. * 띵동포차는 ‘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의 공간을 후원받았습니다.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생필품 꾸러미 ‘레인보우 키트’가 처음으로 청소년에게 전달되었어요. 스스로 생계를 꾸려가는 중인만큼 생필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안부를 나누면서 곁에 띵동이 있음을 항상 얘기해주었죠. 2025년엔 매월 약 30명의 청소년들이 신청하고 있습니다.
2017~2018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 생필품 ‘레인보우 키트’ 전달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생필품 꾸러미 ‘레인보우 키트’가 처음으로 청소년에게 전달되었어요. 스스로 생계를 꾸려가는 중인만큼 생필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안부를 나누면서 곁에 띵동이 있음을 항상 얘기해주었죠. 2025년엔 매월 약 30명의 청소년들이 신청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을 발간 했습니다. ‘인권교육을 위한 교사모임 샘’과 함께 만든 이 책은 교사가 학교에서 청소년 성소수자 학생을 만났을 때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될 매뉴얼이에요. 2025년에는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7~2018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 발간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을 발간 했습니다. ‘인권교육을 위한 교사모임 샘’과 함께 만든 이 책은 교사가 학교에서 청소년 성소수자 학생을 만났을 때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될 매뉴얼이에요. 2025년에는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만들어서 인천, 부산, 대전, 창원 지역의 청소년들과 만나 프로그램을 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가 겪을 수 있는 인권침해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찾아봤어요. 지역 청소년들에겐 이런 만남의 기회 자체가 희소해서 유난히 더 애틋하곤 했습니다.
2019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 제작 및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만들어서 인천, 부산, 대전, 창원 지역의 청소년들과 만나 프로그램을 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가 겪을 수 있는 인권침해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찾아봤어요. 지역 청소년들에겐 이런 만남의 기회 자체가 희소해서 유난히 더 애틋하곤 했습니다.
우리 안에서 해야 할 지원의 규모와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단체가 한 단계 나아가야 했습니다. 비영리민간단체에서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이 되어 지원단체로서 더 큰 꿈을 꿉니다.
2022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으로 전환
우리 안에서 해야 할 지원의 규모와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단체가 한 단계 나아가야 했습니다. 비영리민간단체에서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이 되어 지원단체로서 더 큰 꿈을 꿉니다.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를 열었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되는 위기들 속에서도, 학교 안팎에서 나 다운 삶을 꾸려가고 있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2024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 개최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를 열었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되는 위기들 속에서도, 학교 안팎에서 나 다운 삶을 꾸려가고 있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띵동 10주년! 올해에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단단하게 지킵니다.
2025
띵동 10주년
띵동 10주년! 올해에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단단하게 지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해
총 50,950,000원의 지원금이 필요합니다.
기부로 함께해주세요.
1만원 기부시
띵동과 만나는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식사 한끼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3만원 기부시
띵동식당에서 또래들과 나눠먹을 음료와 간식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5만원 기부시
트랜스젠더 청소년에게 생애 첫 치마, 바인더, 화장품 등 젠더표현 물품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10만원 기부시
탈가정 청소년에게 생필품(레인보우키트)을 선물하여 자립을 응원할 수 있습니다.
띵동 기부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이 되는 일입니다.
한 사람의 삶을 바꾸는 따뜻한 기부, 더 많은 곁이 모일수록 세상은 더 환해집니다.
띵동 10주년 응원메시지
2015~2025
띵동 10년 타임라인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센터를 개소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아름다운재단, 성소수자 친화적인 교회공동체와 국내외 기부자들의 도움이 컸어요.
2015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개소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센터를 개소하여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아름다운재단, 성소수자 친화적인 교회공동체와 국내외 기부자들의 도움이 컸어요.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이 처음 시작됐어요. 같이 맛있는 밥을 먹고, 준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겁게 하는 프로그램이죠. 첫 회엔 청소년 1명이 왔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은 매회 20명의 청소년들이 놀러와서 센터가 웃음소리로 가득해요.
2015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 시작
청소년 참여 프로그램 ‘띵동식당’이 처음 시작됐어요. 같이 맛있는 밥을 먹고, 준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겁게 하는 프로그램이죠. 첫 회엔 청소년 1명이 왔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은 매회 20명의 청소년들이 놀러와서 센터가 웃음소리로 가득해요.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가 문을 열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지원단체가 없었기 때문에 띵동을 청소년들에게 도움 받을 곳이 있다는 걸 알리는 것이 중요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주 모이는 곳들을 찾아가 띵동을 알리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더니 언젠가부턴 3~40명의 청소년들이 띵동포차에 와서 서로 안부를 나눴죠. ‘띵동포차는’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까지 진행했고, 현재 휴식기입니다. * 띵동포차는 ‘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의 공간을 후원받았습니다.
2016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 운영
거리이동상담 ‘띵동포차’가 문을 열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지원단체가 없었기 때문에 띵동을 청소년들에게 도움 받을 곳이 있다는 걸 알리는 것이 중요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들이 자주 모이는 곳들을 찾아가 띵동을 알리면서 점차 입소문을 타더니 언젠가부턴 3~40명의 청소년들이 띵동포차에 와서 서로 안부를 나눴죠. ‘띵동포차는’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까지 진행했고, 현재 휴식기입니다. * 띵동포차는 ‘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의 공간을 후원받았습니다.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생필품 꾸러미 ‘레인보우 키트’가 처음으로 청소년에게 전달되었어요. 스스로 생계를 꾸려가는 중인만큼 생필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안부를 나누면서 곁에 띵동이 있음을 항상 얘기해주었죠. 2025년엔 매월 약 30명의 청소년들이 신청하고 있습니다.
2017~2018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 생필품 ‘레인보우 키트’ 전달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생필품 꾸러미 ‘레인보우 키트’가 처음으로 청소년에게 전달되었어요. 스스로 생계를 꾸려가는 중인만큼 생필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안부를 나누면서 곁에 띵동이 있음을 항상 얘기해주었죠. 2025년엔 매월 약 30명의 청소년들이 신청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을 발간 했습니다. ‘인권교육을 위한 교사모임 샘’과 함께 만든 이 책은 교사가 학교에서 청소년 성소수자 학생을 만났을 때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될 매뉴얼이에요. 2025년에는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7~2018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 발간
「학교에서 무지개길 찾기 가이드북」을 발간 했습니다. ‘인권교육을 위한 교사모임 샘’과 함께 만든 이 책은 교사가 학교에서 청소년 성소수자 학생을 만났을 때 신뢰를 쌓는데 도움이 될 매뉴얼이에요. 2025년에는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만들어서 인천, 부산, 대전, 창원 지역의 청소년들과 만나 프로그램을 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가 겪을 수 있는 인권침해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찾아봤어요. 지역 청소년들에겐 이런 만남의 기회 자체가 희소해서 유난히 더 애틋하곤 했습니다.
2019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 제작 및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 성소수자 인권침해에 대처하는 무지개파워-나를 지키는 워크북」만들어서 인천, 부산, 대전, 창원 지역의 청소년들과 만나 프로그램을 했어요. 청소년 성소수자가 겪을 수 있는 인권침해를 알아차리고,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찾아봤어요. 지역 청소년들에겐 이런 만남의 기회 자체가 희소해서 유난히 더 애틋하곤 했습니다.
우리 안에서 해야 할 지원의 규모와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단체가 한 단계 나아가야 했습니다. 비영리민간단체에서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이 되어 지원단체로서 더 큰 꿈을 꿉니다.
2022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으로 전환
우리 안에서 해야 할 지원의 규모와 분야가 다양해지면서 단체가 한 단계 나아가야 했습니다. 비영리민간단체에서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이 되어 지원단체로서 더 큰 꿈을 꿉니다.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를 열었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되는 위기들 속에서도, 학교 안팎에서 나 다운 삶을 꾸려가고 있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2024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 개최
<포용적인 학교 환경을 위한 법제도 개선 연구> 발표회를 열었습니다. 학생인권조례가 폐지되는 위기들 속에서도, 학교 안팎에서 나 다운 삶을 꾸려가고 있는 청소년 성소수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었습니다.
띵동 10주년! 올해에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단단하게 지킵니다.
2025
띵동 10주년
띵동 10주년! 올해에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곁을 단단하게 지킵니다.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임팩트 리포트
띵동이 만든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고 싶다면 리포트를 받아보세요.